리눅스 파일 시스템 탐색: ls 명령어의 활용법
ls 명령어의 다양한 옵션을 활용하여 파일 시스템을 효율적으로 탐색하는 방법

ls 명령어 소개
ls 명령어는 리눅스와 유닉스 기반 시스템에서 가장 기본적이고 자주 사용되는 명령어 중 하나입니다. 이 명령어는 현재 작업 디렉토리 또는 지정된 디렉토리의 내용을 나열하는 데 사용됩니다. 다양한 옵션을 조합하면 파일과 디렉토리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리눅스 터미널에서 ls 명령어를 사용하는 모습
ls 명령어 기본 사용법
ls 명령어의 기본 구문은 다음과 같습니다:
ls [옵션] [파일|디렉토리]
옵션을 지정하지 않으면 현재 디렉토리의 파일과 디렉토리 이름만 간단히 나열합니다. 이제 가장 유용한 몇 가지 옵션을 살펴보겠습니다.
팁: ls 명령어의 옵션은 대소문자를 구분합니다. -a와 -A는 서로 다른 기능을 수행합니다.
ls -la: 모든 파일의 자세한 목록 보기
기능
ls -la
명령어는 숨겨진 파일을 포함한 모든 파일을 자세한 정보와 함께 나열합니다. 이 옵션은 두 가지 옵션을 조합한 것입니다:
- -l (long format): 파일의 자세한 정보를 표시 (권한, 소유자, 크기, 수정 시간 등)
- -a (all): 점(.)으로 시작하는 숨겨진 파일도 포함하여 표시
사용 예시
$ ls -la
합계 48
drwxr-xr-x 5 user user 4096 3월 15 10:30 .
drwxr-xr-x 18 user user 4096 3월 14 09:15 ..
-rw-r--r-- 1 user user 220 2월 20 14:25 .bash_logout
-rw-r--r-- 1 user user 3771 2월 20 14:25 .bashrc
drwx------ 2 user user 4096 3월 1 11:20 .cache
-rw-r--r-- 1 user user 807 2월 20 14:25 .profile
drwxr-xr-x 2 user user 4096 3월 15 10:30 Documents
drwxr-xr-x 2 user user 4096 3월 10 16:45 Downloads
-rw-r--r-- 1 user user 12345 3월 15 09:20 example.txt
출력 정보 해석
항목 | 설명 |
---|---|
drwxr-xr-x | 파일 권한 및 유형 (d는 디렉토리, -는 일반 파일) |
5 | 하드 링크 수 |
user user | 소유자와 그룹 |
4096 | 파일 크기 (바이트 단위) |
3월 15 10:30 | 마지막 수정 시간 |
. | 파일 또는 디렉토리 이름 |
주의: 시스템 설정 파일 대부분은 숨겨진 파일(점으로 시작)이므로, 시스템을 관리할 때는 -a 옵션을 자주 사용하게 됩니다.
ls -lh: 사람이 읽기 쉬운 형태로 파일 크기 표시
기능
ls -lh
명령어는 파일 크기를 바이트가 아닌 KB, MB, GB 등 사람이 이해하기 쉬운 단위로 표시합니다. 이 옵션은 두 가지 옵션을 조합한 것입니다:
- -l (long format): 파일의 자세한 정보 표시
- -h (human-readable): 파일 크기를 사람이 읽기 쉬운 형식으로 표시
사용 예시
$ ls -lh
합계 5.2M
-rw-r--r-- 1 user user 12K 3월 15 09:20 example.txt
-rw-r--r-- 1 user user 2.5M 3월 10 16:45 large_file.zip
-rw-r--r-- 1 user user 2.7M 3월 5 14:30 another_large_file.tar.gz
drwxr-xr-x 2 user user 4.0K 3월 15 10:30 Documents
장점
- 대용량 파일을 빠르게 식별할 수 있음
- 디스크 사용량을 분석할 때 유용
- 숫자만으로는 파악하기 어려운 크기를 직관적으로 이해 가능
실전 팁: ls -lha
로 숨겨진 파일까지 모두 표시하면서 사람이 읽기 쉬운 형식으로 볼 수 있습니다.
ls -lt: 수정 시간순으로 파일 정렬
기능
ls -lt
명령어는 파일과 디렉토리를 수정 시간순으로 정렬하여 표시합니다. 가장 최근에 수정된 항목이 먼저 나옵니다. 이 옵션은 두 가지 옵션을 조합한 것입니다:
- -l (long format): 파일의 자세한 정보 표시
- -t (time): 수정 시간순으로 정렬
사용 예시
$ ls -lt
합계 48
-rw-r--r-- 1 user user 12345 3월 15 11:45 newest_file.txt
drwxr-xr-x 2 user user 4096 3월 15 10:30 Documents
-rw-r--r-- 1 user user 2200 3월 14 09:15 older_file.log
drwxr-xr-x 2 user user 4096 3월 10 16:45 Downloads
-rw-r--r-- 1 user user 807 2월 20 14:25 .profile
유용한 사용 사례
- 가장 최근에 수정된 파일을 찾을 때
- 로그 파일을 시간순으로 확인할 때
- 시스템 문제 발생 시 최근 변경 사항을 추적할 때
고급 팁: ls -ltr
로 정렬 순서를 반대로 하여 오래된 파일부터 볼 수 있습니다. (r 옵션은 reverse를 의미)
옵션 조합 및 활용 예시
ls 명령어의 옵션은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 다음은 유용한 조합 몇 가지입니다:
명령어 | 설명 |
---|---|
ls -lha | 모든 파일(숨김 파일 포함)을 자세히 보면서 사람이 읽기 쉬운 크기로 표시 |
ls -lt --color=auto | 시간순 정렬에 색상 구분 추가 |
ls -lS | 파일 크기순으로 정렬 (대문자 S 주의) |
ls -lR | 하위 디렉토리까지 재귀적으로 모두 표시 |
ls 명령어의 다양한 옵션 조합 예시
주의: 일부 옵션은 시스템에 따라 동작이 다를 수 있으므로 man ls
명령어로 매뉴얼을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실전 활용 예제
1. 최근 다운로드한 파일 찾기
$ cd ~/Downloads
$ ls -lt | head -5
Downloads 디렉토리로 이동하여 가장 최근에 수정된 5개의 파일만 표시
2. 대용량 파일 찾기
$ ls -lSah | head -10
현재 디렉토리에서 가장 큰 파일 10개를 사람이 읽기 쉬운 형식으로 표시
3. 특정 사용자가 소유한 파일 찾기
$ ls -la | grep username
특정 사용자가 소유한 파일만 필터링하여 표시
알고 계셨나요? 많은 리눅스 시스템에서 ll
명령어는 ls -l
의 별칭으로 설정되어 있습니다. alias
명령어로 확인해 보세요.
'개발 >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눅스 기본 파일 시스템 명령어: cd와 mkdir 활용법 (0) | 2025.04.16 |
---|---|
리눅스 기본 파일 시스템 명령어: cd 명령어 완벽 가이드 (0) | 2025.04.16 |
리눅스 파일 시스템 탐색: file, ls -l, ls -a 명령어 가이드 (0) | 2025.04.15 |
리눅스 파일 시스템 검색 및 상태 확인 명령어: find, locate, stat (0) | 2025.04.15 |
리눅스 기본 파일 시스템 명령어: mkdir, rmdir, tree 완벽 가이드 (0) | 2025.04.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