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개발/Linux

리눅스 기본 파일 시스템 명령어: mkdir, rmdir, tree 완벽 가이드

by 낭만기사 2025. 4. 15.

리눅스 기본 파일 시스템 명령어

mkdir, rmdir, tree 명령어를 활용한 효율적인 디렉토리 관리 방법

 

디렉토리 관리의 기본: mkdir, rmdir, tree

리눅스 시스템에서 파일과 디렉토리 관리는 가장 기본적이면서도 중요한 작업입니다. 이 글에서는 디렉토리 생성(mkdir), 삭제(rmdir), 구조 확인(tree)에 사용되는 핵심 명령어들을 상세히 알아보겠습니다.

리눅스 디렉토리 관리 명령어 작업 흐름도

1. mkdir - 디렉토리 생성 명령어

mkdir 명령어는 Make Directory의 약자로, 새로운 디렉토리를 생성하는 데 사용됩니다.

기본 사용법

mkdir 디렉토리명

주요 옵션

옵션 설명 사용 예시
-p 상위 디렉토리까지 함께 생성 (부모 디렉토리 포함) mkdir -p dir1/dir2/dir3
-m 디렉토리 생성 시 권한 설정 mkdir -m 755 newdir
-v 생성 과정 출력 (verbose 모드) mkdir -v dir1 dir2

실무 팁

한 번에 여러 디렉토리를 생성할 수 있습니다: mkdir dir1 dir2 dir3

공백이 포함된 디렉토리명은 따옴표로 감싸주세요: mkdir 'new folder'

mkdir 명령어를 사용한 디렉토리 생성 예시

2. rmdir - 빈 디렉토리 삭제 명령어

rmdir 명령어는 Remove Directory의 약자로, 빈 디렉토리를 삭제하는 데 사용됩니다.

주의: rmdir은 디렉토리가 비어있을 때만 삭제가 가능합니다. 파일이나 하위 디렉토리가 있는 경우 rm -r 명령을 사용해야 합니다.

기본 사용법

rmdir 디렉토리명

주요 옵션

옵션 설명 사용 예시
-p 상위 디렉토리까지 함께 삭제 (부모 디렉토리 포함) rmdir -p dir1/dir2/dir3
-v 삭제 과정 출력 (verbose 모드) rmdir -v dir1
--ignore-fail-on-non-empty 비어있지 않은 디렉토리 삭제 시도 시 오류 무시 rmdir --ignore-fail-on-non-empty dir

rmdir vs rm -r

rmdir은 안전장치 역할을 합니다. 실수로 중요한 파일이 포함된 디렉토리를 삭제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반면 rm -r은 강력하지만 위험할 수 있습니다.

3. tree - 디렉토리 구조 시각화

tree 명령어는 디렉토리 구조를 트리 형태로 시각화하여 보여주는 유용한 도구입니다.

일반적으로 기본 설치되어 있지 않을 수 있습니다. 설치가 필요하면 다음 명령을 사용하세요:

# Ubuntu/Debian
sudo apt install tree

# CentOS/RHEL
sudo yum install tree

# macOS (Homebrew 사용)
brew install tree

기본 사용법

tree [디렉토리경로]

주요 옵션

옵션 설명 사용 예시
-d 디렉토리만 표시 tree -d
-L 표시할 깊이(레벨) 제한 tree -L 2
-a 숨김 파일/디렉토리 포함 tree -a
-f 전체 경로 표시 tree -f
-I 특정 패턴 제외 tree -I "*.txt"

tree 명령어의 일반적인 출력 예시

고급 활용

tree 명령어의 출력을 파일로 저장하거나 HTML로 변환할 수 있습니다:

# 출력을 파일로 저장
tree > directory_structure.txt

# HTML 형식으로 출력
tree -H . -o index.html

명령어 조합 활용 사례

이 명령어들을 조합하면 더 강력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1. 복잡한 디렉토리 구조 생성

mkdir -p project/{src,doc,test/{unit,integration},lib}

이 명령은 다음과 같은 구조를 생성합니다:

  • project/
  • ├── src/
  • ├── doc/
  • ├── test/
  • │ ├── unit/
  • │ └── integration/
  • └── lib/

2. 임시 디렉토리 생성 및 정리

# 임시 디렉토리 생성 및 사용
mkdir temp
cd temp
# 작업 수행...
cd ..
rmdir temp

이 패턴은 임시 작업 공간이 필요할 때 유용합니다.

3. 디렉토리 구조 문서화

# 프로젝트 구조 문서화
tree -d -L 3 > PROJECT_STRUCTURE.md

# 숨김 파일 제외하고 HTML로 출력
tree -H . -I ".*" -o project_tree.html

프로젝트 문서화에 매우 유용합니다.

© 2023 리눅스 명령어 가이드. 모든 권리 보유.

더 많은 리눅스 팁과 튜토리얼을 원하시면 블로그를 구독해주세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