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azer core x chroma USB 3.1로 데이터를 주고받기 때문에
원활한 속도를 위해서 썬더볼트와 USB 3.1이 노트북에 지원되어야 합니다.
구매 전에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Razer core x chroma를 사용해서 GEFORCE RTX 3080을 설치해보았습니다.
먼저 GEFORCE RTX 3080을 개봉해보았습니다.
가격은 약 110만원 정도에 구매하였고 인공지능의 발달로 가격이 점점 상승하고 있습니다.
그래픽카드의 크기도 가격만큼이나 점점 커지는 것이 아닌지?
쿨러가 3개나 달려있었고, 외관도 블랙으로 멋지게 빠져 있었습니다.
블랙 에디션이라는 이름이 생상 때문인 거 같습니다.
![]() |
![]() |
본체 말고는 전원을 연결할 수 있는 연결잭이
추가적으로 들어 있었습니다.
저희는 Razer core x chroma에 연결할 것이기 때문에
필요가 없었습니다.
Razer core x chroma를 개봉해보았습니다.
개봉을 하자마자 전원선과 USB 3.1 데이터 케이블과 설명서가 있었습니다.
그리고 설명서 아래에는 USB 3.1 데이터 케이블이 보였습니다.
케이블 박스를 제거하면 아래와 같이 본체가 나타납니다.
![]() |
![]() |
설명서에는 안에는 스티커가 있었습니다.
본체에서 뒷단 전원 연결부에 손잡이를 위로 올리고 잡아당기면 아래와 같이 본체가 분리됩니다.
드라이버와 같은 부품이 필요 없이 셋업 할 수 있어서 편리했습니다.
이제 종이와 스티로폼을 제거합니다.
제거 시 종이가 생각보다 단단하게 되어 있어 힘을 많이 주면 장비가 덜컹되기 때문에
가위를 사용하시는 것을 추천해드립니다.
제거를 완료하면 다음과 같은 형태로 파워, 메인보드, 쿨러가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고,
쿨러 옆에는 GPU 전원선이 있는 것을 확인 할수 있습니다.
이제 GPU를 연결하기 위해서 상단에 나사를 제거합니다. 드라이버를 사용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저는 손으로 돌려서 분리하긴 했습니다. ^^;
아래와 같이 그래픽카드를 메인보드에 연결하고, 나사를 다시 연결합니다.
그리고 파워 선을 연결하면 장비 셋업이 마무리됩니다.
케이스는 분리와 역순으로 앞으로 밀고, 손잡이만 내리면 됩니다.
![]() |
![]() |
이제 Razer core x chroma 본체 USB 3.1을 노트북 USB 3.1에 연결하면 외장형 GPU 그래픽카드가 연결이 됩니다.
저의 경우에는 별도의 설치 과정이 없었는데 Razer core x chroma를 설정할 수 있는 프로그램도
자동으로 설치되었습니다.
'IT&과학 > 비디오 카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엘가토(Elgato) HD60 S+ 비디오 캡쳐 카드를 Zoom에서 사용기 (0) | 2020.06.26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