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 파일 보기 명령어 완벽 가이드
cat, less, more 명령어를 활용한 효율적인 파일 내용 확인 방법
파일 내용 확인 명령어 개요
리눅스 시스템에서 파일의 내용을 확인하는 것은 시스템 관리의 기본이자 필수적인 작업입니다. 이 글에서는 가장 많이 사용되는 파일 내용 확인 명령어인 cat, less, more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각 명령어는 고유의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상황에 따라 적절한 명령어를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작은 파일인지 큰 파일인지, 내용을 전체적으로 빠르게 확인해야 하는지 아니면 상세히 살펴봐야 하는지에 따라 선택이 달라집니다.
리눅스 터미널에서 파일 내용을 확인하는 모습

1. cat 명령어
기본 개념
cat(concatenate의 약자) 명령어는 파일의 내용을 표준 출력(화면)에 출력하는 가장 기본적인 명령어입니다. 주로 작은 파일의 내용을 확인하거나 여러 파일을 연결(concatenate)하여 출력할 때 사용합니다.
기본 사용법
주요 옵션
옵션 | 설명 |
---|---|
-n | 출력 시 줄 번호를 표시 |
-b | 빈 줄을 제외하고 줄 번호를 표시 |
-s | 연속된 빈 줄을 하나로 압축 |
-E | 각 줄의 끝에 $ 문자 표시 |
사용 예시
cat example.txt
# 줄 번호와 함께 출력
cat -n example.txt
# 여러 파일 연결하여 출력
cat file1.txt file2.txt
# 파일 내용을 다른 파일에 추가
cat file1.txt >> file2.txt
주의: cat 명령어는 파일 전체 내용을 한 번에 출력하므로 매우 큰 파일(예: 로그 파일)에 사용하면 터미널이 멈출 수 있습니다. 큰 파일은 less나 more 명령어를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2. less 명령어
기본 개념
less는 파일 내용을 페이지 단위로 보여주는 명령어로, more 명령어의 향상된 버전입니다. less는 파일을 열 때 전체를 메모리에 로드하지 않고 필요한 부분만 로드하므로 큰 파일을 볼 때 유용합니다.
기본 사용법
주요 옵션
옵션 | 설명 |
---|---|
-N | 줄 번호 표시 |
-i | 대소문자 구분 없이 검색 |
-S | 긴 줄을 자르지 않고 한 줄로 표시 |
+F | 파일의 끝을 계속 감시(로그 파일에 유용) |
less 내부 명령어
less를 실행한 후 사용할 수 있는 주요 키 명령어:
- Space: 다음 페이지
- b: 이전 페이지
- Enter: 다음 줄
- q: 종료
- /문자열: 문자열 검색 (n: 다음, N: 이전)
- g: 파일 처음으로 이동
- G: 파일 끝으로 이동
- :n: 다음 파일 (여러 파일을 열었을 때)
- :p: 이전 파일 (여러 파일을 열었을 때)
Tip: less는 매우 강력한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h' 키를 누르면 모든 명령어 목록을 볼 수 있습니다.
3. more 명령어
기본 개념
more는 파일 내용을 페이지 단위로 보여주는 초기 명령어입니다. less보다 기능이 제한적이지만, 모든 유닉스 시스템에서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기본 사용법
주요 옵션
옵션 | 설명 |
---|---|
-num | 한 번에 표시할 줄 수 지정 |
+num | num 줄부터 표시 시작 |
+/pattern | pattern이 나타나는 줄부터 표시 시작 |
more 내부 명령어
more를 실행한 후 사용할 수 있는 주요 키 명령어:
- Space: 다음 페이지
- Enter: 다음 줄
- q: 종료
- /문자열: 문자열 검색
- =: 현재 줄 번호 표시
- :f: 파일 이름과 현재 줄 번호 표시
주의: more는 파일을 앞으로만 이동할 수 있으며, 뒤로 이동하는 기능이 없습니다. 또한 less에 비해 검색 기능이 제한적입니다.
명령어 비교
세 명령어의 주요 차이점을 비교해 보겠습니다.
기능 | cat | less | more |
---|---|---|---|
파일 전체 출력 | O | 페이지 단위 | 페이지 단위 |
앞뒤 이동 | X | O | X (앞으로만 이동) |
검색 기능 | X | O (강력한 검색) | O (기본 검색) |
대용량 파일 | 비추천 | 추천 | 추천 |
줄 번호 표시 | 옵션으로 가능 | 옵션으로 가능 | 제한적 |
결론: 작은 파일은 cat으로 빠르게 확인하고, 큰 파일은 less를 사용하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more는 less가 없는 오래된 시스템에서 사용하면 됩니다.
실전 활용 팁
로그 파일 분석
less +F 옵션으로 실시간 로그 파일 모니터링:
Ctrl+C로 감시 모드 종료 후 일반 less 모드로 전환
파일 내용 검색
less에서 /keyword로 검색 후 n/N으로 이동:
/error # 'error' 검색
n # 다음 검색 결과
여러 파일 동시 확인
less로 여러 파일 열기:
:n # 다음 파일
:p # 이전 파일
'개발 >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파일 보기 명령어: view, nl, od - 리눅스 파일 내용 확인의 다양한 방법 (0) | 2025.04.20 |
---|---|
리눅스 파일 보기 명령어: head, tail, tail -f 활용 가이드 (0) | 2025.04.19 |
파일 조작 명령어: sync와 install 명령어 완벽 가이드 (0) | 2025.04.19 |
리눅스 파일 조작 명령어: dd, rsync, scp 완벽 가이드 (0) | 2025.04.18 |
리눅스 파일 조작 명령어: ln과 shred로 파일 관리하기 (0) | 2025.04.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