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 파일 조작 명령어
ln과 shred 명령어로 효율적인 파일 관리하기
ln 명령어: 파일 링크 생성하기
ln 명령어는 리눅스에서 파일에 대한 링크를 생성하는 명령어입니다. 링크에는 하드 링크와 심볼릭 링크(소프트 링크) 두 가지 유형이 있습니다.
1. ln -s: 심볼릭 링크 생성
심볼릭 링크는 Windows의 바로가기와 유사한 개념으로, 원본 파일을 가리키는 포인터 역할을 합니다.
기본 사용법:
ln -s [원본파일] [링크파일]
주요 특징:
- 원본 파일과 다른 inode 번호를 가짐
- 원본 파일이 삭제되면 링크가 깨짐 (dangling link)
- 디렉토리에 대한 링크 생성 가능
- 다른 파일 시스템 간 링크 생성 가능
예제:
# 현재 디렉토리에 있는 file.txt에 대한 링크 생성
ln -s file.txt link_to_file
# /var/log/messages에 대한 링크를 홈 디렉토리에 생성
ln -s /var/log/messages ~/system_logs
2. ln -f: 기존 링크 강제 덮어쓰기
-f 옵션은 이미 존재하는 링크 파일이 있을 경우 강제로 덮어씁니다.
주의: 이 옵션을 사용하면 기존 링크가 자동으로 덮어쓰여지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사용법:
ln -sf [원본파일] [링크파일]
예제:
# 기존 link_to_file이 존재하더라도 강제로 새로운 링크 생성
ln -sf new_file.txt link_to_file
팁: 심볼릭 링크를 확인하려면
ls -l
명령을 사용하세요. 링크 파일은 화살표(->)로 원본 파일을 가리키는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shred 명령어: 파일 내용 영구 삭제
shred 명령어는 파일의 내용을 완전히 삭제하고 복구할 수 없도록 만드는 명령어입니다. 민감한 데이터를 완전히 삭제해야 할 때 사용합니다.
shred 기본 사용법
shred는 기본적으로 파일 내용을 무작위 데이터로 여러 번 덮어씁니다(기본 3회).
기본 사용법:
shred [옵션] [파일]
주요 옵션:
-n 횟수
: 덮어쓰기 반복 횟수 지정 (기본값: 3)-z
: 마지막에 0으로 덮어써서 흔적을 숨김-u
: 덮어쓴 후 파일 삭제-v
: 진행 상황 출력
예제:
# secret.txt 파일을 5번 덮어쓴 후 삭제
shred -n 5 -u secret.txt
# logfile을 3번 덮어쓴 후 0으로 한 번 더 덮어쓰고 삭제
shred -z -u logfile
주의사항:
- shred는 모든 파일 시스템에서 완벽하게 작동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예: journaling 파일 시스템)
- SSD에서는 효과가 제한적일 수 있음
- 루트 권한이 필요한 경우가 많음
shred와 일반 삭제의 차이점
항목 | 일반 삭제 (rm) | shred |
---|---|---|
데이터 복구 가능성 | 가능 (휴지통 또는 복구 도구로) | 거의 불가능 |
처리 속도 | 빠름 | 느림 (여러 번 덮어씀) |
사용 목적 | 일반 파일 삭제 | 민감한 데이터 완전 삭제 |
실전 활용 예시
1. 프로젝트 공유 디렉토리 생성
여러 사용자가 공동으로 작업하는 프로젝트 디렉토리를 홈 디렉토리에서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심볼릭 링크 생성:
ln -s /shared/projects ~/my_projects
2. 로그 파일 모니터링
시스템 로그 파일을 편리한 위치에서 모니터링하기 위해 링크 생성:
ln -sf /var/log/nginx/access.log ~/nginx_access.log
3. 임시 파일 안전 삭제
개인정보가 포함된 임시 파일을 안전하게 삭제:
shred -n 7 -z -u sensitive_data.tmp
반응형
'개발 >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파일 조작 명령어: sync와 install 명령어 완벽 가이드 (0) | 2025.04.19 |
---|---|
리눅스 파일 조작 명령어: dd, rsync, scp 완벽 가이드 (0) | 2025.04.18 |
리눅스 파일 조작 명령어: cp와 mv 활용 가이드 (0) | 2025.04.18 |
파일 조작 명령어: rm과 cp 명령어 활용 가이드 (0) | 2025.04.17 |
Linux 파일 조작 명령어: touch, ln, rm -r (0) | 2025.04.17 |